Grit

Grit“아이에게 그릿(Grit)을 심어주는 부모의 대화 법” 5부. 성장 과정 별 적용(연령 편 5-2)

info-findworld25 2025. 9. 21. 20:40

5-2. 초등 고학년 아이를 위한 Grit 훈련 대화

 

 

초등 고학년 시기는 아이가 학습 난이도와 생활 전반에서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의 도전을 경험하는 시기입니다. 과목별 학습량이 많아지고, 친구 관계나 학교 활동에서도 책임감이 요구되며,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능력 역시 점차 강조됩니다. 이 시기에 부모가 어떤 대화를 나누느냐는 아이의 성장 궤적을 크게 바꿀 수 있습니다. 단순히 공부를 잘하게 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는 힘, 즉 그릿(Grit) 을 훈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초등 고학년 아이들은 이미 어느 정도 사고 능력과 자기표현 능력을 갖추었기 때문에 부모의 대화 역시 구체적이고 전략적인 방식으로 접근해야 효과적입니다.

 

 

Grit“아이에게 그릿(Grit)을 심어주는 부모의 대화 법” 5부. 성장 과정 별 적용(연령 편 5-2)

 

- 책임감을 키우는 대화

초등 고학년 아이는 단순히 숙제를 하는 수준을 넘어, 과제를 스스로 계획하고 마무리하는 책임감을 배워야 합니다. 부모가 “오늘 해야 할 일은 네가 스스로 정해볼래?”라고 물으면 아이는 자기 주도적으로 일정을 관리하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책임감을 강조하는 대화는 아이가 결과를 떠나 자신이 맡은 일을 끝까지 해내야 한다는 태도를 심어줍니다. 이는 학습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서 그릿을 발휘하는 토대가 됩니다.

 

- 도전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하기

고학년이 되면 아이는 점차 어려운 학습이나 새로운 활동에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부모가 “이번에 실패해도 괜찮아, 다시 하면 되니까”라고 말하면 아이는 실패를 두려움이 아니라 학습의 과정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도전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대화는 아이가 위축되지 않고 꾸준히 시도할 수 있는 용기를 심어줍니다. 부모가 작은 도전에도 의미를 부여하고 격려한다면 아이는 자신감을 가지고 더 큰 목표에도 도전할 수 있습니다.

 

- 자기조절을 돕는 대화

초등 고학년은 유혹이 많아지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스마트폰, 게임, 친구와의 활동 등이 학습보다 더 매력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때 부모가 “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건 자연스러운 거야, 그런데 네 목표를 위해 어떻게 시간을 나눌 수 있을까?”라고 말하면 아이는 스스로 자기조절 전략을 고민하게 됩니다. 이런 대화는 단순한 통제나 지시가 아니라 자기 관리 능력을 키우는 계기가 됩니다. 자기조절은 꾸준한 학습과 목표 달성의 핵심 요소이며, 결국 Grit을 기르는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 성취 경험을 기록하고 돌아보게 하기

고학년 아이들은 성취 경험을 기록하며 자신감을 키우는 활동을 통해 큰 동기를 얻습니다. 부모가 “지난주에 끝까지 해낸 일이 뭐였는지 적어볼까?”라고 제안하면 아이는 자신의 노력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록은 단순히 과거를 돌아보는 것을 넘어, 앞으로도 도전을 이어갈 수 있는 힘을 줍니다. 성취 경험을 반복적으로 되새기는 대화는 아이가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꾸준히 성장하려는 의지를 강화합니다.

 

 

 

초등 고학년 아이에게 필요한 Grit 훈련 대화는 책임감을 키우고, 도전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하며, 자기조절을 돕고, 성취 경험을 기록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부모의 말은 아이가 단순히 공부를 잘하는 수준을 넘어 스스로 계획하고 도전하며 꾸준히 성장하는 태도를 형성하도록 돕습니다. 이 시기에 배운 태도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그리고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지며, 삶의 다양한 장면에서 그릿(Grit) 을 발휘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