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it“아이에게 그릿(Grit)을 심어주는 부모의 대화 법” 5부. 성장 과정 별 적용(연령 편 5-5)
5-5. 성인이 되어도 이어지는 Grit 습관의 힘
많은 부모들은 그릿(Grit)을 아이들의 학업 성취나 성장 과정에 필요한 덕목으로만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릿은 단지 학생 시절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성인이 된 후에도 삶 전반에서 성공과 성취를 이끌어내는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성인이 되면 직장 생활, 인간관계, 자기계발 등 다양한 영역에서 끊임없이 도전과 어려움이 찾아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뛰어난 재능이나 순간적인 운이 아니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버티고 끝까지 해내는 힘입니다. 어릴 적부터 길러온 습관이 성인이 된 후에도 이어지며, 이는 단순한 습관을 넘어 평생 성장의 동력이 됩니다. 따라서 부모가 어린 시절부터 태도와 습관을 강조하는 대화를 나누는 것은 결국 아이가 성인이 되었을 때에도 강력한 경쟁력을 가지게 하는 밑거름이 됩니다.
- 꾸준함은 평생 자산이 된다
성인이 된 후 가장 크게 작용하는 요소는 꾸준함입니다. 단기간의 집중력이 아니라 장기간 이어지는 지속적인 노력이 직업적 성취와 개인적 성장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프로젝트를 맡았을 때, 처음에는 의욕적으로 시작하더라도 중간에 지치기 쉽습니다. 그러나 꾸준함이 습관화된 사람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성과를 이끌어냅니다. 부모가 아이 시절부터 “작은 것이라도 매일 조금씩 이어가는 게 중요해”라고 대화해왔다면, 이 메시지는 성인이 된 후에도 강력한 자기 동기부여로 작용합니다.
- 실패를 다루는 태도의 힘
성인이 되면 시험 점수 대신 승진 경쟁이나 창업 실패, 인간관계의 갈등 등 다양한 실패를 경험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실패를 대하는 태도입니다. 아이 시절부터 부모가 “실패는 더 나아질 기회야”라고 말해왔다면, 성인이 된 후에도 좌절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습관이 형성됩니다. 이는 단순히 긍정적인 사고를 넘어, 실패를 분석하고 다시 도전하는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결국 실패를 성장의 과정으로 바라보는 태도는 성인이 되어도 변하지 않는 그릿(Grit) 의 핵심입니다.
- 자기계발로 이어지는 습관
성인에게 요구되는 또 하나의 요소는 자기계발입니다.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자신을 업그레이드해야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습니다. 아이 시절부터 부모가 “네가 배우고 싶은 게 있다면 끝까지 해보자”라고 격려해왔다면, 성인이 된 후에도 자기계발을 멈추지 않는 태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런 습관은 직장 내 성장뿐만 아니라 개인적 성취, 예를 들어 새로운 언어 학습이나 취미 활동에도 적용됩니다. 스스로를 발전시키려는 습관은 결국 평생 성장의 원동력이 됩니다.
- 부모 대화의 장기적 영향
부모가 강조한 대화는 아이가 성인이 되어서도 삶의 중요한 기준으로 남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는 게 중요하다”라는 메시지는 단순한 가르침이 아니라 내면화된 행동 원칙이 됩니다. 성인이 되어도 여전히 힘든 순간에 그 목소리가 떠올라 다시 도전할 수 있는 힘을 줍니다. 즉, 부모의 대화는 단기적 효과를 넘어서 아이의 평생 태도를 형성하며, 이는 성인이 되어 사회적 성취와 개인적 행복을 동시에 이루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
성인이 되어서도 이어지는 Grit 습관은 꾸준함, 실패를 대하는 태도, 자기계발을 멈추지 않는 자세에서 드러납니다. 이러한 습관은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고, 어린 시절 부모와의 대화를 통해 서서히 자리 잡습니다. 부모가 성적이나 단기적인 성과보다 태도와 꾸준함을 강조한다면, 아이는 성인이 되었을 때에도 끊임없이 도전하고 성장하는 힘을 지니게 됩니다. 결국 그릿(Grit) 은 평생을 지탱하는 자산이며, 부모의 대화는 그 자산을 아이가 성인이 되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강력한 도구입니다.